본문 바로가기
오늘의 이야기

청년을 위한 국민연금 기초 가이드 – 언제부터 어떻게 납부해야 하나요?

by shin3378 2025. 5. 5.

청년들은 국민연금을 언제부터 어떻게 납부해야 하는지 알아볼게요

 

“아직 연금은 나중 얘기 아닌가요?”
하지만 국민연금은 만 18세 이상, 소득이 생기면 바로 시작됩니다.
청년이 꼭 알아야 할 납부 기준부터 예외 제도까지 정리했으니, 지금 확인만 해도 미래가 든든해질 거예요.
👇 당신의 첫 연금, 지금 이해하세요!

 

 

 

 

국민연금이란?

 

국민연금은 국가가 운영하는 대표적인 공적 연금 제도로, 은퇴 후 소득이 끊겼을 때를 대비해 일정 금액을 월마다 납부하고, 만 65세부터 연금 형태로 수령하는 제도입니다.
단순한 세금이 아닌, 미래를 위한 노후 자산이며 강제성이 있는 ‘투자’에 가깝습니다.



청년은 언제부터 국민연금 납부하나요?

 

만 18세 이상이면서 소득이 발생하면 국민연금 의무가입 대상입니다.
학생이든 프리랜서든 아르바이트생이든 월 70만 원 이상 수입이 있다면 예외 없이 가입 대상입니다.
단, 소득이 없으면 가입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예시: 만 20세 대학생이 주 3일 알바를 하며 월 80만 원 수입 → 국민연금 가입 의무 대상



국민연금 납부 금액은?

 

국민연금 보험료는 소득의 9%이며, 사업장 가입자인 경우 근로자와 고용주가 각각 4.5%씩 부담합니다.
프리랜서나 자영업자라면 본인이 100% 전액 납부해야 합니다.

 

사례 월 소득 본인 부담 고용주 부담 총 납부액
A씨 (직장인) 200만원 90,000원 90,000원 180,000원
B씨 (프리랜서) 150만원 135,000원 없음 135,000원



국민연금은 언제부터 받을 수 있나요?

 

만 65세부터 연금을 수령할 수 있으며, 최소 10년 이상 보험료를 납부해야 수급 자격이 생깁니다.

 

예시: 만 25세부터 30년간 납부 → 만 65세부터 노령연금 수령 가능

 

납부 기간이 길고 금액이 많을수록 월 수령액도 높아집니다.



청년이 꼭 알아야 할 국민연금 제도 3가지

 

1. 납부예외 신청
소득이 없는 경우, 국민연금공단에 납부예외를 신청하면 납부는 하지 않아도 가입기간은 유지됩니다.

 

2. 추후납부 제도
졸업 후 소득이 생기면 과거 납부하지 않은 기간의 보험료를 소급해서 납부할 수 있어 연금 수령액을 높일 수 있습니다.

 

3. 실직·저소득 청년 납부유예
고용보험 상 실직 상태 거나 저소득 상태일 경우에도 납부예외 신청이 가능합니다. 취업 후 재개하면 됩니다.



납부 확인 및 관리 방법

 

  • 국민연금공단 홈페이지: www.nps.or.kr
  • 정부24 납부내역 조회: www.gov.kr
  • 국민연금 모바일 앱 / M건강보험 앱 이용 가능

 

👉 매년 1회 이상 국민연금 납부 이력을 꼭 확인하세요.
미납 기간이 누적되면 수급액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Q&A

 

Q1. 대학생인데, 아르바이트하면서 국민연금 가입했어요. 꼭 내야 하나요?
A1. 네. 월 70만 원 이상 소득이 있다면 의무가입 대상이며, 탈퇴는 불가합니다.

 

Q2. 국민연금 너무 부담돼요. 안 낼 수 없나요?
A2. 소득이 없거나 학업 중이라면 납부예외 신청 가능해요. 하지만 추후 수급액에는 영향이 있습니다.

 

Q3. 차라리 적금이나 ETF로 투자하는 게 낫지 않나요?
A3. 국민연금은 국가가 보장하는 최소 노후 소득입니다. 개인투자와 병행하면 더욱 좋습니다.

 

Q4. 프리랜서도 무조건 내야 하나요?
A4. 소득이 있으면 의무가입 대상이며, 사업장 가입자가 아닌 경우 전액 본인이 부담합니다.

 

Q5. 납부예외 신청은 어디서 하나요?
A5. 국민연금공단 홈페이지 또는 지사에 방문해 신청할 수 있습니다.



정리하며

 

국민연금은 청년 시절에는 피부에 와닿지 않지만, 미래를 위해 가장 먼저 준비해야 할 제도입니다.
정확히 이해하고, 필요한 경우 납부예외나 추후납부 제도를 활용하면 유리하게 운영할 수 있습니다.
국민연금은 ‘모르면 손해, 알면 든든’한 제도입니다.